최종편집 : 2025.02.22 09:57
Today : 2025.02.22 (토)

  • 맑음속초-0.2℃
  • 맑음0.5℃
  • 맑음철원-0.8℃
  • 맑음동두천-0.9℃
  • 맑음파주-1.3℃
  • 맑음대관령-4.4℃
  • 맑음춘천0.9℃
  • 맑음백령도-1.9℃
  • 맑음북강릉-0.1℃
  • 맑음강릉1.3℃
  • 맑음동해0.5℃
  • 맑음서울0.1℃
  • 맑음인천-0.7℃
  • 맑음원주1.3℃
  • 맑음울릉도-0.3℃
  • 맑음수원-1.2℃
  • 맑음영월0.6℃
  • 맑음충주0.4℃
  • 맑음서산-0.9℃
  • 맑음울진2.1℃
  • 맑음청주0.8℃
  • 맑음대전1.5℃
  • 맑음추풍령0.5℃
  • 맑음안동1.9℃
  • 맑음상주1.4℃
  • 맑음포항4.8℃
  • 맑음군산-0.6℃
  • 맑음대구3.8℃
  • 맑음전주0.1℃
  • 맑음울산3.2℃
  • 구름조금창원3.2℃
  • 구름조금광주1.3℃
  • 구름조금부산4.4℃
  • 구름조금통영4.4℃
  • 구름조금목포0.1℃
  • 구름조금여수4.0℃
  • 구름많음흑산도1.3℃
  • 구름조금완도1.4℃
  • 맑음고창-1.4℃
  • 구름조금순천1.0℃
  • 맑음홍성(예)-0.2℃
  • 맑음0.7℃
  • 구름많음제주3.6℃
  • 구름많음고산2.9℃
  • 구름많음성산3.2℃
  • 구름많음서귀포5.3℃
  • 구름조금진주4.5℃
  • 맑음강화-0.7℃
  • 맑음양평0.8℃
  • 맑음이천-0.2℃
  • 맑음인제0.6℃
  • 맑음홍천0.9℃
  • 맑음태백-3.3℃
  • 맑음정선군-0.6℃
  • 맑음제천-0.3℃
  • 맑음보은0.5℃
  • 맑음천안-0.3℃
  • 맑음보령-0.9℃
  • 맑음부여0.9℃
  • 맑음금산1.1℃
  • 맑음0.9℃
  • 맑음부안-0.1℃
  • 맑음임실-0.3℃
  • 맑음정읍-0.2℃
  • 맑음남원0.8℃
  • 맑음장수-1.5℃
  • 맑음고창군-0.2℃
  • 구름조금영광군-0.7℃
  • 맑음김해시3.8℃
  • 맑음순창군0.5℃
  • 구름조금북창원4.8℃
  • 맑음양산시4.8℃
  • 구름조금보성군3.3℃
  • 구름조금강진군2.1℃
  • 구름조금장흥2.0℃
  • 구름조금해남1.0℃
  • 구름조금고흥3.1℃
  • 맑음의령군4.9℃
  • 맑음함양군1.9℃
  • 구름조금광양시3.5℃
  • 구름많음진도군0.6℃
  • 맑음봉화-0.3℃
  • 맑음영주0.2℃
  • 맑음문경0.7℃
  • 맑음청송군1.1℃
  • 맑음영덕3.3℃
  • 맑음의성2.7℃
  • 맑음구미2.4℃
  • 맑음영천3.1℃
  • 맑음경주시4.0℃
  • 맑음거창1.1℃
  • 맑음합천5.1℃
  • 맑음밀양4.6℃
  • 구름조금산청2.0℃
  • 구름조금거제3.5℃
  • 구름조금남해4.3℃
  • 맑음4.6℃
기상청 제공
곡성군, '영귀서원·구암사·신홍구 정려·무곡사' 향토문화유산 지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곡성군, '영귀서원·구암사·신홍구 정려·무곡사' 향토문화유산 지정

4건 효율적인 보호 관리

곡성군 향토문화예산.jpg

 

전남 곡성군의 '영귀서원·구암사·신홍구 정려·무곡사' 등 4건이 향토문화유산으로 발굴됐다.

 

군은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 내 유서 깊은 향토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호 관리를 위해 군 향토문화유산 총 4건을 발굴해 지정 예고했다고 10일 밝혔다.


지정 예고된 향토 문화유산을 30일간의 공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해 검토한 후 심의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향토문화유산으로 최종 지정할 예정이다.


곡성 영귀서원은 1564년 옥과현감 김인후의 학문과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사우(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로 훼철과 복설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실 영귀사의 겉상량문에는 정확한 연대가 확인되며 초석은 원형의 다듬돌로 격식을 갖추고 있어 1900년대 중반에 복설됐음에도 고격과 위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어 곡성 구암사는 1799년 최초로 건립돼 청송심씨 4현을 제향한 사우다. 1868년 훼철돼 1906년 유허비를 세우고 1950년대 이후 사우를 복설했다. 구암사는 인근에 심광형이 건립한 국가민속문화유산 곡성 제호정 고택, 명승 함허정 일원과 역사적으로 연계될 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또 곡성 효자 신홍구 정려에서는 정려(충신, 효자, 열녀 등을 동네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한 곳) 내부에 걸려 있는 명정 편액과 정려기 편액 2매가 효자 정려를 받은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기우만의 ‘송사집’에 ‘증감찰신공정려중수기’가 있어 1899년 정려 중수 사실을 알 수 있는 곳으로 향토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곡성 무곡사는 문중에서 전하는 상량문과 기문에 1955년 조원길을 주벽(사당이나 사원(祠院)에 모신 여러 위패 중에서 주장되는 위패)으로 조대성과 정소를 배향했다. 주벽인 조원길은 공양왕을 옹립한 1등 공신으로 옥천부원군에 봉해진 인물이다. 이색과 더불어 오은으로 불린 역사적 인물을 모신 곳으로 의미가 있다.


조상래 곡성군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 발굴될 수 있도록 군민들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포토